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8 [C언어]🕜🕝비트 연산자🕜🕝 01. 비트와 바이트 - 1byte = 8bits이다. - 컴퓨터가 저장하는 최소단위는 1byte이다. - 4bits를 nibble이라고 한다. - 8개의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는 👉 2^8 = 256(0 ~ 255)개이다. 02. 진법 - 2진법은 0과 1이라는 두 개의 숫자만을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는진법을 말한다. - 10진법은 10을 기수로 쓰는 실수의 진법이며, 10배마다 자릿수가 올라간다. - 16진법은 16을 기수로 쓰는 실수의 진법이며, 16마다 자릿수가 올라간다. 03. 컴퓨터는 왜 10진수나 2진수를 사용하지 않고 16진수를 사용할까 04. 10진수를 2진수로 바꿔보자 - 10진수 값을 2로 나눈 나머지의 값들을 거꾸로 쓰면 2진수로 바꿀 수 있다. 05. 2진수를 16진수로 바꿔보.. 2022. 10. 31. 👩🏼💻TIL : 15. C언어의 메모리 할당 01. 정적 메모리 할당이란? 컴파일러가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시점에 변수에 크기에 맞게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의 위치가 결정된다.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는 변경이 불가하다 02. 변수가 메모리에 유지되는 시간 (1) 전역변수 프로그램이 시작해서 종료할 때까지 유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전역 변수를 추가 혹은 삭제 불가 프로세스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저장됨 (2) 지역변수 함수가 호출될 때 메모리에 할당되었다가 함수가 끝나면 사라짐 프로세스의 스택 세그먼트에 저장됨 03. 정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를 관리하는 법 지역 변수를 사용하려면 그 변수의 현재 주소를 알아야한다. 각 지역 변수의 현재 주소를 기억하려면 지역변수의 개수만큼 메모리가 더 필요하다. 같은 함.. 2022. 10. 24. [Java] 03.메서드 0. 메서드란? ① 메서드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문장들을 하나로 묶은 것 ② 수학의 함수와 유사하지만 자바의 메서드는 입력값, 출력값이 없을 수도 있음. 1.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1) 높은 재사용성(reusablility) ① 한 번 만들어 놓은 메서드는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2) 중복된 코드의 제거 ① 반복되는 문장들을 하나의 메서드로 작성 ② 전체 소스 코드의 길이도 짧아지고 수정해야할 코드의 양이 줄 수 있다. // 같은 내용의 코드가 반복됨. // 변경할 때도 두 곳을 모두 수정해야 함.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for(int i = 0; i < 10 ; i++){ numArr[i] = (int)(Math.random.. 2021. 11. 28. [Java] 02. 변수 (0) 변수의 명명규칙 ①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②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③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④ 특수문자 _와 $만을 허용한다. (1) 변수의 타입 1) 기본형 (Primitive Type) :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① 논리형 : boolean ② 문자형 : char ③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④ 실수형 : float, double 2) 참조형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2) 선언위치에 따른 변수의 종류 ① 변수의 종류 : 클래스변수, 인스턴스변수, 지역변수 ② 변수의 종류를 결정짓는 요소 : 변수의 선언된 위치 Class Variables{ int iv;// 인스턴스 변수 static int c.. 2021. 11.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