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고록24 AWSOME DAY! AWS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기 AWS 온라인 컨퍼런스 참여기 평소 프로젝트를 하면서 AWS의 EC2, S3등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때는 정신없이 사용하고 배포하는것에만 중점을 두다보니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하다고 느낀 차에 AWS에서 온라인 컨퍼런스를 진행 한다는것을 발견했다! 클라우드는 개발할때 필수적이고, 비용적인 측면도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레퍼런스를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에 진행된 AWS 온라인 컨퍼런스는 기업이 아닌 개인으로도 참여를 할 수 있고, 발표자료도 제공되어 충분히 뜻깊은 시간이였다. 총 5번의 강연을 진행하였는데, 클라우드,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인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보안과 관련하여 컨퍼런스가 진행되었다. 강연 1.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란? 온프레미스는 기업의 서버를 클라.. 2023. 6. 8. [WIL]🙈PINTOS_KAIST : Project 3. VIRTUAL MEMORY (2) : Memory Management 🙉 🚫 현재 글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틀린 부분에 대해 댓글을 달아주세요! 🚫 01. JUNGLE_PINTOS PROJECT3: VIRTUAL MEMORY 지금까지 우리가 구현한 PINTOS는 상단과 같은 MEMORY LAYOU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벨 4 페이지 테이블(pml4)를 사용하여 가상 메모리 주소와 물리메모리 주소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한다. 그런데 Page Table에 가상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하는 정보와, dirty bit, acess bit 등등에 대한 정보가 있는데 이것만 가지고는 가상메모리를 구현하기 힘들다. 가상메모리를 구현하기 힘든 이유는 swap in, swap out등을 하려면 페이지에 해당하는 물리주소에 있어하는데 데이터가 실제 어디 존재하는지에.. 2022. 12. 1. [WIL]🙈PINTOS_KAIST : Project 2. User Programs (1) Argument Passing 🚫 현재 글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틀린 부분에 대해 댓글을 달아주세요! 🚫 01. JUNGLE_PINTOS PROJECT2: User Programs 과제 가이드라인 https://casys-kaist.github.io/pintos-kaist/project2/introduction.html Introduction · GitBook Project2: User Programs Now that you've worked with Pintos and are becoming familiar with its infrastructure and thread package, it's time to start working on the parts of the system that allow r.. 2022. 11. 22. [WIL]🙈PINTOS_KAIST : Project 1. THREADS (1) Alarm Clock 🙉 🚫 현재 글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틀린 부분에 대해 댓글을 달아주세요! 🚫 00. 운영체제는 왜 개발자에게 필요할까? 운영체제란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 되어 사용자 및 다른 모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운영체제의 목적은 컴퓨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자원이란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발자에게 운영체제를 알고 모르고의 차이는 마치 게임의 현금결제를 하고 말고와 같다. 운영체제는 동시 작업 가능여부와 처리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첫째, 동시 작업 가능여부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단일작업이 존재한다. 둘째, 동시에 두개 이상의 작업을 처리하는 다중 작업이 존재하며, 현대에는 .. 2022. 11. 20.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