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록

👩🏼‍💻TIL : 5. MongoDB를 써보자

by NOHCODING 2022. 8. 17.
반응형

0. Database의 종류

 Database는 크게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 RDBMS(SQL)은 행/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렵지만, 정형화되어 있는 만큼 데이터가 일관적이고 분석에 용이하다. MS-SQL, My-SQL 등이 RDBMS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NoSQL은 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DB로, 데이터 하나하나 마다 같은 필드 값들을 가질 필요가 없어 자유로운 형태의 데이터 적재에 유리한 대신,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MongoDB이다.

SQL과 NoSQL의 차이

1. MongoDB

MongoDB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NoSQL 타입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으로, JSON과 비슷한 형태로 자료를 정리합니다. 각각의 딕셔너리인 도큐먼트가 모여 컬렉션, 컬렉션이 모여 DB가 되는 형태입니다.

 

2. MongoDB를 설치해보자 

 (1) Homebrew 설치하기

 Homebrew는 '다운로드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는 툴로, brew install 프로그램이름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다운 받아 설치해준다. 터미널 창에 다음과 같이 설치해주기 -> 엔터후 패스워드 입력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sh)"

 

 (2) mongoDB 설치하기

brew tap mongodb/brew
brew install mongodb-community

 

(3) mongoDB 실행해보기

brew services start mongodb-community

 

(4) mongoDB 실행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http://localhost:27017에 접속했을 때, 해당 사이트가 보이면 성공

http://localhost:27017/에 접속할때 보이는 화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