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C

[C언어]🕜🕝비트 연산자🕜🕝

by NOHCODING 2022. 10. 31.
반응형

 

01. 비트와 바이트

   - 1byte = 8bits이다. 

   - 컴퓨터가 저장하는 최소단위는 1byte이다.

   - 4bits를 nibble이라고 한다.

   - 8개의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는 👉 2^8 = 256(0 ~ 255)개이다.

 

 

02. 진법

   - 2진법은 0과 1이라는 두 개의 숫자만을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는진법을 말한다.

   - 10진법은 10을 기수로 쓰는 실수의 진법이며, 10배마다 자릿수가 올라간다.

   - 16진법은 16을 기수로 쓰는 실수의 진법이며, 16마다 자릿수가 올라간다.

 

 

03. 컴퓨터는 왜 10진수나 2진수를 사용하지 않고 16진수를 사용할까

 

04. 10진수를 2진수로 바꿔보자

   - 10진수 값을 2로 나눈 나머지의 값들을 거꾸로 쓰면 2진수로 바꿀 수 있다.

10진수를 2진수로!

 

05. 2진수를 16진수로 바꿔보자

   - 뒤에서부터 4자리씩 잘라서 계산한다.

 

2진수 16진수

06. 2진수를 10진수로 바꿔보자

   - 2의 제곱근을 각 자릿수를 더해서 계산한다.

 

2진수 10진수

 

07. 비트 연산자

   - 비트 연산자는 비트 단위로 논리 연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 대응되는 비트가 모두 1이면 1을 반환함(AND 연산)
| 대응되는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OR 연산)
^ 대응되는 비트가 서로 다르면 1을 반환함(비트 XOR연산)
~ 비트를 1이면 0으로, 0이면 1로 반전시킴(비트 NOT연산)
<< 지정한 수만큼 비트들을 전부 왼쪽으로 이동시킴(left shitf 연산)
>> 부호를 유지하면서 지정한 수만큼 비트를 전부 오른쪽으로 이동시킴(right shift 연산)

 

 

수학싫어!!!!!!

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15. C언어의 메모리 할당  (0) 2022.10.24

댓글